역학산책

대정수로 길흉을 보는 법

blogger-8 2025. 4. 4. 17:44

  대정수 작괘법이란 선천수와 후천수를 사주팔자 년 월 일 시에 대입하여 길흉을 판단하는 법을 말한다. 대정수 작괘법으로는 사주를 판단하지는 않고 점사에 이용한다.

 

1. 선천수

   9 : 갑기자오 

   8 : 을경축미

   7 : 병신인신

   6 : 정임묘유

   5 : 무계진술

   4 : 사해

 

2. 후천수

   1 : 임자

   2 : 정사

   3 : 갑인

   4 : 신유

   5 : 무진술

   6 : 계해

   7 : 병오 

   8 : 을묘

   9 : 경신

   10 : 축미

 

3. 대정수 후천 변수

[표1] 대정수 후천변수

대정수 1 2 3 4 5 6 7 8 9
후천변수 7 2 6 3 4 5 7 8 1

  

  ※ 주역 8괘로 사용할 때는 후천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상괘와 하괘를 구성하여 판단하고, 단시점으로 육효를 활용하여 판단할 때는 후천변수로 변환하여 육효에 육수와 동효를 붙여서 판단한다.

 

4. 대정수 조견표 

[표2] 대정수 조견표

60갑자 년주 수 월주 수 일주 수 시주 수 대운 유년운수
갑자 31 49 211 1831 31
을축 90 106 250 1690 90
병인 73 87 213 1473 73
정묘 28 40 148 1228 28
무진 55 65 155 1055 55
기사 102 115 232 1402 102
경오 97 114 267 1797 97
신미 50 65 200 1550 50
임신 19 32 149 1319 19
계유 64 75 174 1164 64
갑술 35 49 175 1435 35
을해 86 98 206 1286 86
병자 71 87 231 1671 71
정축 30 44 170 1430 30
무인 53 65 173 1253 53
기묘 108 123 258 1608 108
경진 95 108 225 1395 95
신사 42 53 152 1142 42
임오 17 32 167 1517 17
계미 70 83 200 1370 70
갑신 39 55 199 1639 39
을유 84 98 224 1484 84
병술 75 87 195 1275 75
정해 26 36 126 1026 26
무자 51 65 191 1451 51
기축 110 127 280 1810 110
경인 93 108 243 1593 93
신묘 48 61 178 1348 48
임진 15 26 125 1115 15
계사 62 71 152 962 62
갑오 37 55 217 1837 37
을미 90 106 250 1690 90
병신 79 93 219 1479 79
정유 24 36 144 1224 24
무술 55 65 155 1055 55
기해 106 119 236 1406 106
경자 91 108 261 1791 91
신축 50 65 200 1550 50
임인 13 26 143 1313 13
계묘 68 79 178 1168 68
갑진 35 49 175 1435 35
을사 82 94 202 1282 82
병오 77 93 237 1677 77
정미 30 44 170 1430 30
무신 59 71 179 1259 59
기유 104 119 254 1604 104
경술 95 108 225 1395 95
신해 46 57 158 1146 46
임자 11 26 161 1511 11
계축 70 83 200 1370 70
갑인 33 49 193 1633 33
을묘 88 102 228 1488 88
병진 75 87 195 1275 75
정사 33 32 122 1022 22
무오 57 71 197 1457 57
기미 110 127 280 1810 110
경신 99 114 249 1599 99
신유 44 57 174 1344 44
임술 15 26 125 1115 15
계해 66 75 156 966 66

 

5. 작괘법

 

 5-1 선천수 도출

  선천수는 시주 > 일주 > 월주의 순서대로 수를 합하는데 년주는 계산하지 않는다.

  시주는 천간, 지지 모두 백단위를 사용하고

  일주는 천간, 지지 모두 십단위를 사용하고 

  월주는 천간, 지지 모두 단단위를 사용한다.

 

  예1) 

  년  을축

  월  을유

  일  무오

  시  임술

    위의 사주의 경우

    시주 천간은 임으로 선천수는 6이 되고 600을 부여한다.

    시주 지지는 술로서 선천수는 5가 되고 500을 부여한다. 따라서 임술은 600 + 500 = 1,100이 된다.

   

    일주 천간은 무로서 선천수는 5가 되고 50을 부여한다.

    일주 지지는 오로서 선천수는 9가 되고 90을 부여한다. 따라서 무오는 50 + 90 = 140이 된다.

 

    월주 천간은 을로서 선천수는 8이 되고

    월주 지지는 유로서 선천수는 6이 된다. 따라서 을유는 8 + 6 = 14가 된다.

 

    따라서 선천수의 합은 1,100 + 140 + 14 = 1,254가 된다.

 

 5-2 후천수 도출

  후천수는 년주 > 월주 > 일주 > 시주의 순서대로 수를 합하는데 천간은 10수로 하고 지지는 단수로 계산한다.

  예2) 

  년  을축

  월  을유

  일  무오

  시  임술

    위 사주의 경우

    년주 천간은 을로서 8이 되고 80을 부여한다.

    년주 지지는 축으로서 10이 되고 10을 부여한다. 년주의 합은 80 + 10 = 90이 된다.

 

    월주 천간은 을로서 8이 되고 80을 부여한다.

    월주 지지는 유로서 4가 되고 4를 부여한다. 월주의 합은 80 + 4 =  84가 된다.

 

    일주 천간은 무로서 5가 되고 50을 부여한다.

    일주 지지는 오로서 7이 되고 7을 부여한다. 일주의 합은 50 + 7 = 57이 된다.

 

    시주 천간은 임으로서 1이 되고 10을 부여한다.

    시주 지지는 술로서 5가 되고 5를 부여한다. 시주의 합은 10 + 5 = 15가 된다.

 

    따라서 후천수의 합은 90 + 84 + 57 + 15 = 246이 된다.

 

 5-3 선 후천수 합계    선천수 1,254 + 후천수 296 = 1,500

 

    위 [표2] 대정수 조견표에서

    년 을축 90

    월 을유 98

    일 무오 197

    시 임술 1115

    합계     90 + 98 + 197 + 1115 = 1,500 이 되니 선후천수 모두를 더해서 복잡한 절차를 거치는 것과 조견표를 활용하는 것이 모두 같은 합계가 도출된다. 

 

6. 대정수 작괘

  대정수 작괘에서는 4자리 수 중에서 첫수와 마지막 수를 버리고 가운데 두 수를 가지고 작괘를 한다.

 

다만, 4자리 수 중에서 중간에 공()0이 나올 때는 두 가지의 경우가 있는데 하나는 0이 위에 있을 때와 0이 아래에 있을 때이다. 0이 중간자 중에서 위에 있을 때는 첫수를 끌어다 쓰고 중간자 중에 0이 아래에 있을 때는 마지막 수를 끌어다 쓴다.

 

예를 들어

 

3 0 5 4 의 경우 중간자 두 수중에 0이 위에 있으므로 3을 끌어다가 쓰고 마지막 수인 4를 버리니 3, 4가 된다.

첫수인 3을 버리고 중간자가 0이므로 5, 4를 쓰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2 0 0 0 의 경우 중간 두 수가 모두 0이므로 첫수인 2를 중간자 위에 끌어다 쓰고 다시 다음 중간자가 0이 되므로 다시 2를 끌어다 쓰니 2, 2가 된다.

 

1 0 0 1 이라면 1, 1로 작괘한다.

 

3 7 0 5 라면 7, 5로 작괘한다.

 

따라서 위 사주의 대정수인 1 5 0 0 의 경우 1, 5로 작괘한다.

1은 건()이 되고 5는 손()이 되니 천풍구(天風姤) 괘가 된다.

 

여기서는 후천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대정수가 나타난대로 8괘로 작괘하여 판단하였다. 천은 하늘이고 손은 바람이다. 구는 고어에서 우연히 만난다는 뜻이며 한 개의 음이 다섯 개의 양을 만난다.

 

이는 음이 기가 센 상황이며 군자가 우연히 낮은 지위에 있는 여자를 만나게 되니 경계해야 할 상황이 닥침을 암시한다. 연애나 중매에서 남녀관계가 이루어질 때 이러한 괘가 나올 때는 낮은 지위에 있으며 기가 세고 부정한 여자를 아내로 맞이할 수 있는 암시가 되므로 결혼점에는 좋지 않다.

 

여기서 나타난 상의(象意)를 가지고 앞으로의 결과를 더 점치고 싶다면 대정수를 후천변수로 변환하여 작괘를 하고 총합수를 6으로 나누고 나머지 수로 동효를 만들어 나타난 괘로 판단하면 된다. 

   

7. 대운, 년운 수 작괘

  대운과 년운의 간지는 후천수로서 천간은 10을 부여하고 지지는 단수를 부여하여 산출된 수를 대정수 총합수와 다시 합하여 최종적인 대정수로 작괘를 한다.

 

예)

 년 을축 

 월 을유 

 일 무오 

 시 임술

 총합수  1 5 0 0

 

 대운 신사 후천수 천간 40 + 후천수 지지 2 = 42

 세운 을사 후천수 천간 80 + 후천수 지지 2 = 82 따라서 92 + 82 = 124

 

 1500 + 124 = 1624

  따라서  세운 작괘는  6, 2 수택절(水澤節) 괘로서 위의 괘는 물이고, 아래 괘도 연못이니 물은 넘칠 수 있다. 절은 마디, 절도와 규칙을 말하니 산 위의 못에는 물을 가두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규칙을 어기는 것을 억제해야 하며 정도에 맞는 절도가 필요함을 말한다. 그러한 까닭에 중용을 지키지 않는 경거망동을 경계하며 절제와 절도를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상()을 말하고 있다.

 

 동효를 구하여 진행과 변화의 내용을 알고 싶으면 대정수 후천변수를 사용하여 판단하면 된다.

 

6변 5

2변 2

 

  따라서 변효는 5, 2 풍택중부 괘가 되며 총합 수 16246으로 나누면 나머지가 4가 되니 4효동이 되어 천택리 괘가 된다.

 중부괘의 중은 마음을 말하며 부는 믿음을 말한다. 따라서 믿음으로서 사람들의 신임을 얻는 상()이니 절제와 절도를 지키는 것을 계속해서 굳게 지키는 것이 좋다는 것을 말한다. 4효동인 천택리 괘는 위로 세 개의 양효는 강건한 호랑이의 상()이며 태괘는 연못, 기쁨, 온화함의 상()이니, 앞길에 호랑이의 꼬리를 밟은 그것처럼 위험이 도사리고 있지만, 하늘을 위로 삼고 아래로 연못을 삼으니 상 하를 분별하여 절제와 절도와 중용을 지키며 자기관리를 잘하여 유순하게 따르기 때문에 위험하지만, 해를 입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위와 같이 대정수와 육효, 육임의 특성을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상황에 맞게 필요한 술수를 활용하면 된다. 

'역학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운명  (2) 2025.04.14
격국용신  (0) 2025.04.13
그 너머  (0) 2025.04.13
황극수 관법으로 한 해의 길흉을 판단하는 법  (0) 2025.04.03
역학산책  (0) 2025.04.02